본문 바로가기
불교/불교에 대해 꼭 알아야 할 100가지

9. 불교에 신앙의 대상이 많은 이유는?

by 하늘 2021. 12. 9.
728x90

9. 불교에 신앙의 대상이 많은 이유는?

불교에서는 왜 교조인 석가모니 이외에도 신앙 대상이 그렇게 많은 것일까?

이러한 현상은 중국이나 한국, 일본과 같은 대승불교 전통에서만 볼 수 있다. 스리랑카나 태국과 같은 남방불교에서는 볼 수 없는 현상이다. 그들은 오직 석가모니 붓다 한 분만을 신앙하기 때문이다. 신앙 대상이 많아진 것은 초기불교가 아니라 대승불교에 이르러 나타난 현상이다.

대승불교에서는 역사적인 붓다를 확대해서 다양하게 해석하였다. 즉 붓다를 삼신불로 해석한 것이다.

삼신불(三身佛): 법신(法身, 진리, 비로자나불), 보신(報身, 중생들의 바람에 응하는 존재,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화신(化身, 중생 제도를 위해 직접 중생의 몸으로 온 존재, 석가모니불)

그리고 초기불교의 일불설(一佛說)이 대승불교에 와서 다불설(多佛說)로 바뀌었다. 다불설이 등장한 것은 불교가 지니고 있는 성격으로 볼 때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는 모든 존재가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신앙의 대상이 많아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한편, 인간의 실존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초기 불교가 유한할 수 밖에 없는 인간실존의 문제를 치유하는 일반병원이라면, 대승불교는 중생들의 요구로 인해 온갖 다양한 병을 치료하는 종합병원이 되었다 할 수 있다.

ex.
약사여래(藥師如來): 몸과 마음이 아플 때
관음보살(觀音菩薩): 자비심이 부족해서 자신의 삶에 문제가 생길 때
문수보살(文殊菩薩): 지혜가 필요하다고 느낄 때
보현보살(普賢菩薩): 실천이 부족할 때
아미타불(阿彌陀佛): 사랑하는 사람이 세상을 떠날 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