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불교에 대해 꼭 알아야 할 100가지29

28.5. 12연기 보충 28.5. 12연기 보충 초기불교에서는 연기의 교설을 2단계, 3단계, 5단계, 9단계, 10단계, 12단계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한다. 이들 모두는 괴로움에 떨어지게 되는 경로를 해명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 임승택, 초기불교, pp.287-291 12연기 정형구는 어느 한 개인이 만든 의도적 사고의 결과라는 가정을 거부한다. 정형구는 첨가, 융합, 분석을 통해 발달되었다. 결과적으로 완전히 발달된 형태에서 애매모호한 분위기가 있으며, 세부사항에서는 모순되는 부분도 있다. - 고빈드 찬드라 판데, 불교의 기원, p.531. 2022. 1. 12.
28. 12연기, 인간의 실존 28. 12연기, 인간의 실존 연기는 불교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철학적 사유다. 모든 것은 홀로가 아니라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는 것이 붓다의 통찰이었다. 연기의 진리가 모든 존재의 일반적인 모습이라면, 이를 인간의 실제적인 삶에 적용한 것이 바로 12연기다. '무엇이 있으므로 말미암아 늙고 죽는 것이 있을까?' 12연기는 '생로병사는 과연 무엇으로 말미암아(緣) 일어나는(起) 것일까?' 12연기는 12지(支)라고도 불리는데, 무명(無明)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입(六入)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그것이다. 불교의 목적은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얻는(離苦得樂) 데 있다. 12연기는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기 위해 그 원인부터 규명하고 있는 것이다. 2022. 1. 12.
27. 연기적 사유와 인간의 책임 27. 연기적 사유와 인간의 책임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책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녀에게 비친 아이히만은 성실하고 정직한 관료였다. 유대인을 좋아하는 친절하고 정직한 이웃집 아저씨와 같았다. 그런 사람이 어떻게 600만 명의 유대인 학살을 주도할 수 있었을까? 그것은 다름 아닌 자신의 행동이 상대에게 어떤 아픔과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렌트는 사유를 인간의 능려깅 아니라 책임이라고 강조한다. 즉, 자신의 행동이 세계에 끼칠 영향과 의미를 '반드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 우리는 나의 행동이 다른 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생각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모든 것은 서로 깊은 관계 속에서 연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2022. 1. 8.
26. 연기의 진리, 그리고 사랑 26. 연기의 진리, 그리고 사랑 싯다르타는 무엇을 깨쳐서 중생에서 붓다로 질적 전환을 이루었을까? 바로 연기(緣起)의 진리다. 연기란 빠알리어로 '말미암아(緣)'라는 의미의 '빠띳짜(paticca)'와 '일어난다(起)'는 의미를 가진 '사뭅빠다(samuppada)'가 결합된 합성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말미암아 일어난다는 의미가 된다. 붓다는 이를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라고 간결하게 정리하였다. '이것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저것이 있다.'는 구절은 세계를 공간적으로 관찰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딸기와 벌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이것이 생기므로 말미암아 저것이 생긴다.'는 구절은 시간적 관철이다. 예를 들어, 한권의 책 .. 2022. 1.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