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불교에 대해 꼭 알아야 할 100가지29

5. 불교에서 믿음의 의미와 대상은? 5. 불교에서 믿음의 의미와 대상은? 불교는 과학이 아니다. 불교는 종교다. 따라서 지식이 아닌, 믿음의 범주에서 다루어야 한다. 불교에서 믿음의 대상은 붓다(佛)와 가르침(法), 승가(僧)다. 이를 가리켜 삼보(三寶), 즉 세 가지 보배라 한다. 불교의 모든 의식은 삼보에 귀의하는 것(三歸依)에서 시작한다.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공동체에 귀의합니다. 삼귀의란 삼보에 돌아가 절대적으로 믿고 의지한다는 일종의 신앙고백이다. 별상삼보(別相三寶): 부처님과 가르침, 승가를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일심삼보(一心三寶): 불법승(삼보)이 마음 밖에 별도로 존재하는 대상(별상)이 아니라 우리들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일심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 경우, 삼귀의는.. 2021. 12. 8.
4. 신앙에도 질적 차이가 있는가? 4. 신앙에도 질적 차이가 있는가? 종교가 지식이 아니라 불완전한 믿음의 체계라는 점에서 볼 때 어느 정도의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적 신앙을 좀 더 냉철하게 성찰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 신비주의자로 알려진 구제프(Gorge Gurdjieff, 1877-1949)에 의하면 믿음에도 질적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는 믿음을 세 가지로 구분했다. 기계적 믿음(mechanical faith) 정서적 믿음(emotional faith) 자각적 믿음(conscious faith) (1) 기계적 믿음(어리석음, foolishness): 기계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을 디자인하고 만든 사람에 의해서 움질일 뿐이다. 아무 생각 없이 자신의 종교를 신앙하는 유형이다. (2) 정서적 믿음(노예, sl.. 2021. 12. 8.
3. 종교를 믿는 이유는? 3. 종교를 믿는 이유는? 인간은 무엇인가를 욕구하는 존재다. 개인적인 욕구가 있다. 사회문화적인 욕구가 있다. 종교적인 욕구가 있다. (※ 학계에서는 생리적, 안전, 애정/소속,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로 정리한다.) 종교적 욕구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인간의 삶이 유한하기 때문이다. 유한한 실존 앞에 무력감을 느끼고,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욕구가 일어난다. 종교란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은 종교에 귀의하는 유형을 두 가지로 구분했다. (1) 건강형(Healthy minded): 부모나 친구를 따라 특별한 문제의식 없이 종교에 귀의하는 경우이다. 이들에게 종교란 삶의 일부분에 속한다. (2).. 2021. 12. 7.
2. 종교는 믿는 것인가, 아는 것인가? 2. 종교는 믿는 것인가, 아는 것인가? 종교는 기본적으로 무언가를 믿는 체계다. 그 무엇에는 (1) 종교를 창시한 교주와 (2) 그의 가르침인 교리, (3) 그리고 교주와 그 가르침을 믿고 따르는 교단이 포함된다. 엄밀히 말하면 종교적 믿음은 불완전한 믿음이다. 왜냐하면 그 믿음이 옳은지 그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증거 없음) 종교는 검증의 체계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를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다. (중세의 신학자들, ex. 신 존재 증명) 그들의 시도를 타당한 증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다만 이러한 시도들이 무의미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를 통해 종교는 검증의 대상이 아니라 믿음의 대상이라는 소중한 교훈을 얻었기 때문이다. 종교적 신앙은 지식.. 2021. 12. 7.
728x90